팝업
팝업은 언제 쓰면 좋을까?
팝업은 언제 쓰면 좋을까?
2024.07.12팝업은 즉각적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수단이다.남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신뢰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사용해야한다. 실제로 팝업 시점을 어설프게 쓰거나 나쁜 의도가 보인다면 이탈률이 증가하게 되고, 서비스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낙인찍히게 된다. 사용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가 있거나 중요한 선택의 순간이 아니라면 팝업을 지양해야한다. 팝업은 언제 써야되나중요한 내용이나 공지사항이 있는 경우사용자의 금전적 손해를 입을 수 있는 경우 명시적 동의가 필요한 경우 중요한 기능이나 업데이트 안내 팝업은 언제 쓰지 말아야되나광고를 과도하게 노출하는 경우 너무 잦은 확인을 받으려고 하는 경우팝업 내용이 글쓴이(서비스오너)의 입장이 중심인 경우최초 접속시 모달, 팝업, 토스트팝업이 ..
모달, 논모달 그리고 팝업의 차이
모달, 논모달 그리고 팝업의 차이
2021.11.16회사 업무를 진행하면서 '모달과 팝업' 차이를 그때 당시에는 누군가를 가르칠정도로 제대로 알지 못했기에 항상 갈증났었는데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정리해볼까 한다. 결과적으로 대부분 모달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메인 서비스와 상관이 없는 독단적인 내용이라면 팝업, 서비스를 통해서 진행되는 것은 모달이라고 부른다. 모달의 제일 큰 특징으로는 시작(진입 컨퍼넌트)하여 끝(OK, Save, Done...)을 낼 수 있으며, 모달에서 다시 제자리(메인)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부분만 알아도 모달을 바로 알 수 있다. 구글 머테리얼 디자인에서도 모달과 논-모달의 정의를 볼 수 있는데 아래 그래프가 더 설명하기 좋을 것 같아서 가져오게 되었다. 이 그래프를 보면 또 떠오르는 질문 '논-모달은 무엇일까?'. 모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