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요체
UX라이팅 : 해요체와 하십시오체 어떤걸 써야될까?
UX라이팅 : 해요체와 하십시오체 어떤걸 써야될까?
2024.07.12해요체와 하십시오체 차이점은?UI 텍스트에서 상대높임법은 사용자와 서비스의 관계를 정립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래 친근함을 이유로 UI텍스트에서 반말 또는 평어를 쓰는 경우도 있지만, 아주 예외 케이스이다. 대부분은 UI텍스트에서 높임말인 해요체와 하십시오 체를 사용한다. 해요체와 하십시오체는 한국어 UX라이팅의 보이스 및 톤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두 종결 표현의 사용 비율과 빈도가 서비스 성격 표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를 사용 양태가 격식성, 공식성, 브랜드 퍼소나, 서비스가 상정한 사용자 퍼스나, 그리고 그 둘 사이의 권력 위계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해요체와 하십시오체 사용은 발화자와 청자의 관계, 발화 맥락이 어떠한지에 따라 그 공식성과 친근성이 미묘하게 다르..